안녕하세요
오늘은 새내기 전자전기공학부의 학부생들을 위해
짜잘한 로드맵과 사이트를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개인적인 공부 정리상황 이라도고 합니다ㅎ)
전자전기공학부를 전공하게 되면
세부적으로 전공할 수 있는 분야가 매우 다양합니다
반도체, 컴퓨터공학, 통신, 전력,,, 등등 다양한데요
저는 반도체 전공테크를 탈 예정이므로
이쪽 분야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반도체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나눌 수 있지만
가장 크게 생각해보면
기능에 따라 메모리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로 나뉩니다
둘다 알면 좋겠지만 보통은 두 분야 모두 차지하는 공부량이 엄청나기 때문에 선택을 하게 됩니다
메모리 반도체라고 하면 가장 대표적인게 DRAM, Nand Flash가 있습니다
시스템 반도체는 CPU GPU 등이 있죠
공부를 하고 조금만 뉴스를 찾아보면
우리나라가 메모리 강국이고
이제는 시스템 반도체 쪽에 투자범위를 확대하여 키우려는 상황임을 알 수 있을겁니다
만약 둘 중에 시스템 반도체쪽을 선택했다면
공부할 범위가 무궁무진하게 넓어집니다
하지만 미래의 성장가치도 어마어마 하죠
저도 학부생입니다만
같은 학부생의 입장에서 시스템반도체쪽으로 간다고 했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설계언어에 능숙한지라고 생각합니다
보통 1학년때 C언어나 C++ 등을 배울 것입니다
설계언어는 이와 비슷하게 하드웨어를 설계하는 언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가장 대표적인게 Verilog HDL이 있습니다
보통 3학년 2학기때 배우게 되는데
이 언어를 다루는데 능숙할수록 유리하다고 생각됩니다
반도체설계교육센터
특성화 분류참여교수의 특성화를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idec.or.kr
http://www.kocw.net/home/cview.do?mty=p&kemId=1319435&ar=relateCourse
https://www.asic.net/main/index.do
SW-SoC융합아카데미
www.asic.net
위 사이트에서 많이 찾아보고 배우실 수 있습니다
Verilog언어를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을 쌓고 있으면 좋은데요
먼저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딥러닝 분야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NPU를 넘어 뉴로모픽의 시대로 가고 있는 시점에서
빅데이터를 다루고 딥러닝을 처리하는 하드웨어에 대한 연구가 더 지속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뉴로모픽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뉴로모픽의 소자에 대한 연구, 센서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멤리스터 등의 소자 공부가 앞으로의 미래를 설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줌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만나고 싶은 대화 CH.1 (0) | 2021.10.09 |
---|---|
( 여의도 더 현대 서울 )수제 버거맛집 폴트버거! 강추 (0) | 2021.03.09 |
후암동, 해방촌 맛집, 카페, 데이트코스!! ✅log (2) | 2021.02.27 |
(수원 카페 추천) 수원 행궁동 카페 <한섬> 행리단길 카페추천! (0) | 2021.02.22 |
(빵집 추천) 수원, 행리단길 빵집..요즘 뜨는 비건 빵집!! <여름빵학> (0) | 2021.02.21 |
댓글